「 JAVA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March 05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7.9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7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| 인터페이스 | 구현 클래스 | 특징 | 
| Map | HashMap TreeMap
 HashTable
 Properties
 | Key-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. 순서가 없으며 Key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. Value는 중복 가능 | 
| Set | HashSet TreeSet
 | 순서가 없는 데이터의 집합. 중복 불허 | 
| List | LinkedList Stack
 Vector
 ArrayList
 |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, 데이터의 중복 허용 | 
| Queue | PriorityQueue... | 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SPRING FRAMEWORK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March 03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5.5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5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서버의 리소스 (CPU 사용량 및 메모리 사용량)이나 웹 사이트 URL의 호출 횟수, 응답시간 등 서버 개발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해야 하는 자원을 쉽게 모아서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.
간단한 사용 후기로는 Grafana가 그래프를 그려주는게 InfluxDB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그려준다. 그릴 데이터를 sql 쿼리로 가져온다. 신기하다!! 물론 DB는 InfluxDB외에도 다른 Plugin을 통해 가져올 수 있다.
서버 모니터링 대시보드...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SPRING FRAMEWORK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March 01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3.4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3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지난번 WAS와 WEB의 분리를 통해 js, css 등의 정적 파일은 apache에서 서비스 하도록 변경했다.
js, css등의 파일을 압축 전송하여 좀 더 빠르게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.
물론 장단점이 존재한다.
장점 : 압축전송으로 인해 좀 더 빠른 전송, 적은 네트워크 트래픽
단점 : 보낼때마다 서버의 압축과정 => 부하 가능성, 브라우저는 받아서 압축 해제해야 하는 추가 과정 필요
gzip 압축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apache의 ...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SPRING FRAMEWORK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February 26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4.2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4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Apache (웹 서버) 는 static한 파일 (js, img, css) 등 변동이 없는 파일을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. Tomcat (웹 어플리케이션 서버, 이하 WAS) 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유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.
WEB은 static 파일 서비스에 유리하고, WAS는 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리하다.
현재까지 구현한 웹 서비스에서는 WEB은 WAS로 proxy 기능만 하고있다. 즉 WEB의 장점을 사...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SPRING FRAMEWORK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February 09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8.9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8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Github 또는 그 외의 공개 장소에 프로젝트 관리를 하다보면 DB 패스워드 등 보안에 민감한 정보들이 노출되기 쉽다.
깃헙에 delete password 라는 키워드로 커밋 검색 결과… delete password 커밋해도.. 이전 커밋에는 패스워드가 노출되어있다는 것.. 애초에 올리질 말아야 한다
그 외에 OAuth에 필요한 키, 다른 API 토큰들 이런 정보는 보호해야 한다. 하지만 문제가 되는 부분인 협업을 하면서 민감한 정보들만 보...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SPRING FRAMEWORK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January 22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2.1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2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| 디렉토리 | 설명 | 
| bin | tomcat 실행에 필요한 바이너리 | 
| conf | 설정파일 <- 중요하다!! | 
| webapps | 웹앱들의 루트 폴더 | 
| work | jsp파일을 서블릿 형태로 변환한 java파일 | 
- server.xml 을 보면 몇가지 태그로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.
| 태그 | 설명 | 
| Service | tomcat의 구성요소를 정의한다. 기본적으로 Catalina로 되어 있다 | 
| Connector | 서비스 요청이 왔을 때 Engine... | 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NHN ENT.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January 22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2.2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2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2주차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했다. git이나 태스크 관리 등 규칙 정하는데 하루를 모두 소비했다. 그 후 Repo 등록하고 Spring Framework프로젝트 생성 후 첫 Initial Commit을 날렸다.
2주차에는 DB -> DAO -> Service 까지 개발하기로 했다. 그래야 다음주에 UI를 할 수 있으니..
2주차가 끝나는 오늘 아직 Service가 개발중이다. 중간에 DB를 갈아엎은게 영향이 컸다.
Java는 안드로...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 
         
     
 
    
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「 SPRING FRAMEWORK 」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January 14, 2017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Words count
                        2.1k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Reading time
                        2 mins.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Travis CI 란?
Travis CI는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위한 지속적 통합 서비스이다. Github의 README.md 파일을 보면 build/passing 같은 뱃지를 볼 수 있다. 이것이 travis의 CI의 결과를 쉽게 알 수 있는 기능이다.
Travis CI 서비스 가입하기
https://travis-ci.org/
- 서비스 가입은 Github 계정으로만 가입할 수 있다.
Repository 연동...
            
            Read article